쉬어가는 마당 242

몽골 나담축제

◐재미있는 몽골이야기-7◑ "몽골 나담축제" 몽골의 나담 축제는 몽골혁명기념일인 7월 11일부터 7월 13일까지 수도 울란바타르에서 매년 개최되는 몽골의 대표적인 민속 축제이자 스포츠 축제입니다. 정식 명칭은 ‘남자들의 3가지 경기’ 라는 뜻의 ‘에링 고르봉 나담’ 으로, 몽골 씨름, 말타기, 활쏘기 등 3가지 경기가 중심을 이룬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나담은 몽골인의 독특한 문화적 특징과 이미지의 표현으로 유목민 문화와 전통을 대변함으로써, 세계의 몽골인의 문화를 부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세계 10대축제 중 하나로 불리오고 2010년에 유네스코 문화유산에 등재된 세계적으로 유명한 축제입니다. ​매년 7월11일 오전 9시30분이 되면 의장대가 야크 꼬리로 만든 깃발 9개를 들고 수흐바토르 ..

성소수자, 남자 연인들 무덤의 미스테리

●재미있는 중국이야기-95● “성소수자, 남자 연인들 무덤의 미스테리" 희로,연자방아,기린,동백섬, 어릴적 호기심에 기웃거렸던 게이들이 출연했던 유명한 스텐드바식 주점 들이다. 요즘은 퀘어 축제를 할 정도로 사회적 분위가 성숙했지만 그때 그시절 분위기는 성 소수자들이 드러낼 수 없었기에 호구지책이 이런 업소에서 춤추고, 노래하는 일이었다. 고대에도 동성간의 사랑, 동성간의 커플이 있었을까? 중국 남경시 서하구(栖霞區) 사자충(獅子冲)에는 서로 바라보고 있는 약 1,500년 된 한 쌍의 석각(石刻)이 있다. 고고학자들은 이 석각을 조사하던 중, 석각의 북쪽에서 규모가 큰 남조(南朝) 시대의 묘를 발견하게 되었다. 무덤 속에서는 여자와 남자가 아닌 두 남자의 유골이 발굴되어, 발굴대원들은 놀라움을 감추지 못..

변발과 치파오

●재미있는 중국이야기-94● “변발과 치파오” 청의 역사에 대해 한족들이 지니는 감정의 실타래는 매우 복잡하다. ‘양주 10일','가정 대도살' 등의 역사적 사실을 언급하는 대목에선 모두 눈물을 글썽인다. ‘원명원 파괴,무술변법' 청대의 역사에 대해 학생들의 가슴에 풀기 어려운 증오의 감정을 남겼다. 그리고 그것은 소수민족에 대한 한족의 우월성과 지배의 당위성에 대해 암묵적인 공감을 형성하는 정서적 배경이 되었다. 위에서 언급한 ‘양주10일', '가정 대도살' 등의 역사적 사건은 모두 만주족 통치에 대한 한족의 저항과 관련된 것이다. 특히 '양주 10일'은 청이 산해관을 넘어 중원을 파죽지세로 점령하고 남하하던 시기에 일어난 일로 끈질기게 저항했던 강남 양주성 백성들을 청군이 열흘에 걸쳐 무참히 도륙한 ..

적선과 동냥

●재미있는 중국이야기-92● “ 적선과 동냥” “한푼 적선 하고 가쇼” 우리네 사극, 중국 역사 드라마에 거지가 구걸할 때 쓰는 표현이다. 적선. 어려운 타인을 도우는 일이 곧 나의 선을 쌓는다는 의미이다. 적선과 같이 쓰이는 동냥의 의미는 무엇일까? 어디에서 왔을까? 남의 집을 돌아다니며 돈이나 물건 따위를 거저 달라고 비는 일을 ‘동냥’이라고 한다. 그렇게 해서 얻은 돈이나 물건 역시 동냥이라고 한다. 그래서 동냥이라는 말은 ‘동냥하다’ 이외에도 ‘동냥을 얻다, 동냥을 주다, 동냥을 빌다, 동냥을 다니다’처럼 여러 형태로 쓰인다. 이 말은 원래 불가에서 승려들이 탁발을 할 때 동령을 흔들던 데에서 비롯됐다. ‘탁발’이란 승려가 경을 외면서 집집마다 다니며 시주를 받는 일이다. 승려는 아무것도 소유할 ..

잡채와 당면의 진실

●재미있는 중국이야기-91● ​ “잡채와 당면의 진실” ​ 잡채. 잔칫상이나 명절날 상차림에도 빠지지 않는 최애 요리. 한자의 의미는 여러가지 채소를 섞은 요리 라는 의미 이다. ​ 언제부터인가 우리가 먹던 잡채 보다 넒은 당면이 중국 당면이라 불리우며 우리네 식탁에 보인다. ​ 당면은 당나라 면이라는 의미? 잡채와 당면은 다른 것 일까? ​ 중국 당면에서 유래된 면으로 한반도에는 청나라 때 최초로 들어왔다고 알려졌다. ​ 청나라에서 전래되었으므로 오랑캐 면이라는 뜻의 호면(胡麺), 중국에서 들어왔다는 뜻의 당면등으로 불리다가 당면으로 정리된다. 호면은 그저 일부에서만 불리는 이명으로 남게 된다. ​ 당면이 한반도에 널리 보급된 것은 일제 강점기였던 1912년 화교로부터 당면 만드는 법을 배운 어느 일본..

가장 치욕적인 궁녀 전용 형벌

●재미있는 중국이야기-90● ​ “가장 치욕적인 궁녀 전용 형벌” ​ 예전 학교에서는 선생님들의 여러가지 체벌이 있었다. 그중 “무릎꿇고 손들고 있기” ​ 시작은 이게 무슨 힘든 거라고 였지만 시간이 갈수록 그 고통은 상상을 초월했던 아픈 기억이 있다. ​ 궁녀들은 잘못이 있으면 여자라는 이유로 다른 형벌을 받았을까? ​ 가장 치욕적이고, 가혹한 형벌은 무엇이었을까? ​ 청나라의 형벌이라고 하면, 먼저 만청(滿淸) 10대 혹형(酷刑)을 떠올릴 수도 있다. 만청 10대 혹형은 10가지의 형벌 종류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이름일 뿐, 이와 관련된 혹형은 10여가지가 훨씬 넘는다. ​ 이 형벌들이 모두 청나라 때 새롭게 발명된 것은 아니지만, 주로 청나라 초기 한족(漢族)들을 통제하는 수단으로 다양하게 ..

간디가 손자에게 남긴 말

○재미있는 인도이야기-2○ ​ "간디가 손자에게 남긴 말" ​ 인도의 수도 뉴델리에, 간디의 화장터인 라즈가트라는 곳이 있다. 그곳 추모공원 기념석에는 간디가 말한 사회를 병들게 하는 일곱가지 惡德 (7 Blunders of the world)이 새겨져 있다. ​ 간디가 손자 아룬 간디에게 남긴 글이다. ​ 1. 철학없는 정치. Politics without Principle. ​ 정치가 무엇인지도, 누구를 위한 것인지도 생각하지 않고 그저 권력욕, 정권욕에 사로 잡혀 통치한다면 국민은 불행하다. ​ 2. 도덕없는 경제 Commerce without Morality. ​ 경제는 모두가 다함께 잘 살자는 가치가 깔려 있어야 한다. 거래를 통해 손해를 보아 피눈물 나는 사람들이 생겨서는 안된다. 있는 자의 ..

인구 14억의 나라, 인도

○재미있는 인도 이야기-1○ "인구 14억의 나라, 인도" 14억 인구의 평균연령이 29세인 나라? 인도입니다. 인도 아이들의 장래희망 1순위가 있습니다. 우리나라 처럼, 의사 변호사와 같은 전문직이 아니고요. 바로 엔지니어인데요~ 그 가운데에서도 이 학교에 들어가면 인생 역전한다는 학교가 있습니다. 바로 인도의 최상급 엔지니어들이 들어간다는 IIT입니다. 입학시험이 수학, 화학, 물리 단 세 과목인 이 학교에 들어가는 것은 하늘의 별 따기라고 하는데요~ 입시를 위해 학생들이 한 도시의 학원에 모여서 공부합니다. 코타란 도시인데요, 우리로 말하면 노량진 같은 곳입니다. 학원 300곳, 숙소 3000곳이 있는 이곳에서, 인도 전국 150만 개에 달하는 고등학교 전교 1등들이 모여 미친 듯이 경쟁합니다. (..

음양오행, 태극의 진실

●재미있는 중국이야기-89● ​ “음양오행, 태극의 진실" ​ 국민학교 어릴적 시절, 반공과 충효를 국시로 교육받던 시절, 때려잡자 김일성의 반공교육과 더불어 행하여지던 태극기,무궁화 그리기 대회. ​ 콤바스로 태극을 그린 후 선생님의 태극기 색깔 설명이 백미였다. 위에는 빨갱이들이 살기 때문에 빨간색 이란거다. 영글지 않은 어린 머리속의 각인들, 영원히 지워지지 않는 세뇌다. ​ 태극은 무엇이며 어떻게 시작된 것일까? ​ 태극기는 잘 알려진 것처럼 흰색 바탕에 태극과 4개의 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여기에 대한 설명은 대체로 이렇게 진행됩니다. ​ 즉 흰색 바탕은 우리 민족이 평화를 사랑하는 모습, 즉 밝음과 순수를 상징하고 태극은 우주 만물이 이 음양(태극)으로부터 창조되듯이 우리 민족의 창조성을 나..

파, 좋아하지만 때로는 금기시 하는

●재미있는 중국이야기-88● ​ “파, 좋아하지만 때로는 금기시 하는” ​ 탤런트 최불암이 가장 좋아하는 채소는? 파~~ 어릴 적 한때 유행했던 아재개그. ​ 중국친구들과의 식사자리에 예쁘장한 여자친구가 옆에 남자친구에게 속삭인다. 그리고 식당주인에게 속삭이듯 주문을 한다. ​ 별도의 주문음식 외에 식당 주인이 가져다 준 한다발의 생파. 뭘 할려고 생파를 주문했는지 의아했던 그 순간 내눈을 몇번이고 의심했던 장면이 연출된다. ​ 그 예쁜 여자친구가 자르지도 않고 그냥 큰 생파를 씹어 먹는다. 엽기 그 자체의 문화적 충격, 그것도 아주 맛있게, 한동안 한국 와서 생파를 못 먹어서 금단현상이 생겼다고 너스레를 떤다 ​ 우리가 매운 음식과 마늘을 좋아하듯이 중국인의 파 사랑은 놀라울 정도다. ​ 葱.총 파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