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어가는 마당/재미있는 외국이야기

36계와 줄행랑

신바람맨/HL4CCM/김재호 2024. 3. 1. 17:05

            ●재미있는 외국이야기-172●

                   

                    “36계와 줄행랑”

 

원래 줄행랑이라는 말은 ‘세도가 대단한 지역 유지 또는 만석꾼'이라는 일종의 권력을 지닌 부자 개념이었다.

위와 연관지어 '줄행랑을 놓다'

혹은 '줄행랑을 부르다'라는 말이 파생되었는데, 이는 권력의 판세가 바뀌거나 가세가 급격히 몰락하여 줄행랑 있는 집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는 어려운 상태가 되어 버리고 도망치는 것을 의미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정치적인 감각에 있어 눈치가 무엇보다 중요했기에 결과적으로 '낌새를 채고 피하여 달아나다'라는 의미로 굳어지게 되었고, 나중에는 그냥 줄행랑 자체가 ‘눈치 보다가 급히 도망치다' 혹은 '급하게 도망치는 모습' 정도의 뜻으로 와전되어 버렸다.

​'36계를 놓는다' 내뺀다는 뜻이다.

36계 원전의 내용 중 그 36가지 속임수의 맨 마지막 구절이 바로 '走為上-도망이 상책, 줄행랑이다.

36계란 중국인이 경험속에서 모은 그럴듯한 속임수들의 집합체다.

대부분 4자, 3자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가 아는 미인계는 36계 중 31번째에 해당하는 급수가 별로 높지 않은 속임수다.

왜 하필이면 36개를 대표로 모았는가?

하는 이야기부터 짚어보자.

긴 역사, 넓은 땅덩어리, 많은 인물들이 경험한 사건은 한 두개가 아니다.

그런데 왜 36개만이 대표가 되었을까?

그것은 36이 3의 배수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3은 무엇인가?

3은 중국인에게 가장 완벽한 숫자다.

중국도 10진법을 쓰기 때문에 10을 만수로 여길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중국문화를 더듬어 보면 그들의 내면 심리에는 3과 3의 배수들이 완전한 수로 자리잡고 있음을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

흔히 아는 삼세판은 그 대표적인 예다.

우리나라를 노래하는 삼천리는 불행히도 우리들의 작품이 아니다.

중국의 백발 삼천 장, 당나라때 시 300수를 모은 唐诗三百首이 담고있는 3의 의미와 맥을 같이 한다.

이밖에도 우리 주변에 흔히 널려있는 3의 명칭들은 기분 나쁘지만 원조가 중국이다.

3은 어째서 다수의 상징적 숫자가 되었을까?

3은 가장 적은수로 가장 많은것을 표현할수 있는 숫자다.

그것이 어떻게 가능할까?

해답은 바로 대칭이라는 현상에 있다.

그 이유는 중국의 고대 문자 갑골문에 있다.

이 갑골문을 보면 재미있는 현상을 하나 발견할 수 있다.

불꽃, 산맥, 물줄기, 말의갈기 등을 상당히 간결하면서도 본래의 의미를 잃지 않으며 묘사하고 있다.

즉 모든 다수의 형체는 언제나 세 가닥만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말갈기도 세가닥 뿐이고, 불꽃도 세 개뿐이다.

또 물줄기도 세 줄기뿐이고 산도 세 봉우리뿐이다.

중국인들은 끝도 없이 묘사해야 할 다수라는 개념을 대칭개념을 활용해 세개로 축약해냈다.

이것이 바로 중국인들이 3을 최고의 완벽한 만수로 생각하는 시발점이다.

한자의 火 山 水등 은 가운데 획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

3,000여년이 흐른 현대의 글자를 보아도 이 흔적은 여전히 남아 있다.

대칭은 좌우가 동형이다.

그러나 이것은 둘은 아니다.

둘은 안정된 모습이기는 하지만 나누어 버리면 더 이상의 발전과 성장이 없다.

가운데 축이 있어야 한다.

이것이 바로 3이다.

즉 중국인에게 3이란 최소로 줄어든 다수의 상징수다.

과거 청동기 솥의 다리를 하필 셋으로 만든 것은 청동이 부족해서가 아니다.

그것은 완벽한 조화를 의미한다.

중국 속담 중 '물건은 세집 물건을 비교해보고 사야한다"는 경구 역시 가장 확실한 선택을 의미한다.

갑골문에 보이는 은나라 군대의 편제는 좌,중,우군이다.

三을 중국 최고의 사전에서는 하늘과 땅과 사람을 상징하는 숫자로 보고 있다.

가장 완벽한 숫자로 만들어진 3에 우주만물의 핵심요소 셋을 채워넣은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 과정을 거치면서 ​3은 중국인의 삶속에 깊이 자리했다.

시각적 대칭에서 출발한 3은 철학적 권위를 부여받는 과정을 거쳤다.

그리고 마침내는 풍부함 넉넉함 완벽함 성공등의 이미지를 형성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