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273

한참의 유래

●재미있는 중국이야기-137● “한참의 유래” ​ 중국의 대중교통 기차를 타러 역사를 가노라면 기차역이 아니고 火车站(화차참)을 쓴다. 站을 짠 이라고 발음하고, 우리는 참 이라고 읽는다. ​ “역”과 “站”은 무엇이 다를까? 그 유래는 어디서 왔을까? ​ 인류 역사상 가장 광대했던 몽골제국을 다스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보의 전달 속도가 중요했다. ​ 몽골제국은 동서로 8,000킬로미터나 떨어진 두개의 전선을 동시에 담당하고 있었는데 그정도 전선을 동시에 유지하려면 무엇보다도 빠른 정보 전달이 중요했다. ​ 기동성이 뛰어난 몽골족들은 체계화된 릴레이 시스템을 생각해냈는데 그것이 '잠'이라고 불렸다. 쿠빌라이칸 시대에 몽골에 간 마르코 폴로에 따르면 "각 지방으로 가는 주요 도로변에 25마일이나 30마일..

카테고리 없음 2023.10.27

추파, 가을날의 물결

●재미있는 중국이야기-136● “추파,가을날의 물결” ​ ‘추파를 던지다’ ​ ‘추파(秋波)’란 ‘가을 물결’이라는 뜻입니다. ​ 가을의 ‘맑고 잔잔하고 아름다운 물결’이 곧 추파(秋波)입니다. ​ 맑고 잔잔한 물결은 끊임없이 움직이는데, 무슨 신호를 보내는 것처럼 비쳐지기도 합니다. ​ 여인의 맑고 고운 눈빛이 바로 이와 같아서 추파(秋波)라는 말이 생겼고, ​ ‘이성의 관심을 끌기 위해 은근히 보내는 눈길’이란 뜻으로 쓰였다고 합니다. ​ 하지만 지금은 주로 남자가 여자에게 눈길을 보내는 것을 ‘추파(秋波)를 보낸다’라고 하고 ​ 여기에 ‘환심을 사려고 아첨하는 태도나 기색’이라는 의미도 더해져 사용됩니다. ​ 당(唐)나라 시인 이백(李白, 701~762)은 〈노군동석문송두이보(魯郡東石門送杜二甫)〉라..

23년 11월~24년 4월 중국 산동성 크루즈

★중국 산동성 크루즈★ ♥NO 쇼핑/NO옵션/NO부담♥ ◐23년11월~24년4월 산동크루즈- 4박5일 (₩620,000)◑ ◐23년11월~24년4월 온천+관광- 4박5일(₩620,000)◑ ◐12월28일(목)~01월02일(화)- 5박6일◐-해넘이와 해맞이 (₩720,000) *군산펄호(2만톤급, 신형) *산동반도(석도/위해/연태/봉래) 주요관광지 관광 *광주-군산 왕복 수송 포함 (군산항 출도착-3만원 공제) *여행경비:620,000~720,000원 (기사/가이드 경비 등 All 포함) ​ 문의 : (주)신바람투어 대표 김 재 호 010-3646-2401 ​ #중국여행 #산동성크루즈 #산동반도 #석도 #위해 #연태 #봉래 #군산항 #석도페리 ​ https://band.us/band/83688897/pos..

2023년 동계 “ 무안-캄보디아 씨엠립 ” 전세기 상품

🌈2023년 동계 “ 무안 ✈️ 캄보디아 씨엠립 ” 전세기 상품 출시!! ​ 📢12월 30일부터 3박5일 백투백 총 16항차 진행 !! ​ 📢항공 편명 및 시간대 최종 확정!! A-320 기종!! ​ 무안✈️씨엡립 ZA2529 09:30-13:00 씨엠립✈️무안 ZA2519 01:50-08:30 ​ 💕관광 ₩1,190,000원/인 💕 골프 ₩1,490,000원/인 ​ 👍연말연시 / 설 명절 연휴 단 10만원 인상!!!!! ​ ✅VIP비자비 포함!!! ✅마사지 120분 ✅ 압사라디너 ✅ 버팔로 트래킹 ✅ 톤래삽 쪽배 ✅ 야간 시티투어 등 꽉찬 일정!!! ​ 야심차게 준비했습니다!!! ​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 ☎문의: (주)신바람투어 대표 김 재 호 010-3646-2401 #무안공항 #캄보..

만산홍엽과 오동나무

●재미있는 중국이야기-135● “만산홍엽과 오동나무” ​ 예로부터 시를 쓸 때 궁합이 좋은 단어가 있다. 가을, 오동잎, 달밤, 거문고..등이 그렇다. ​ 백낙천의 장한가에 추우오동엽락시(秋雨梧桐葉落時) 귀절이 있다. 가을비에 지는 오동잎을 보며 죽은 양귀비를 그리워한다는 것이다. ​ 또 오동추야(梧桐秋夜).오동잎 떨어지는 가을 밤이라는 노래가사도 있다. ​ 오동 잎은 크다. 떨어질 때 소리도, 동작도 크다. 그래서 가을에 오동잎 떨어질 때 쓸쓸한 느낌도 더하다. ​ 오동쌍피. 화투 11월 똥은 오동나무를 뜻한다. 똥광은 봉황을 뜻한다. ​ 가을의 기운이 점차 깊어지고 있다. 모든 산에 울긋불긋한 색깔이 들어앉는 만산홍엽(滿山紅葉)의 가을 정취가 이제 곧 우리 눈에 가득 들어올 때다. ​ 가을을 표현하는..

秋毫(추호), 가을 털갈이

⊙“秋毫(추호), 가을 털갈이”⊙ 당신을 모욕할 마음은 “추호”도 없다 . ​ 가을에 나는 털은 너무 가늘고 얇아서 눈에 잘 보이지 않을 정도라고 합니다. ​ 옛사람들은 이것을 보고 ‘추호'를 '매우 적다'라는 것을 표현할 때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 현재는 과거와 달리 매우 '단호한 결심'을 뜻할 때 사용하는 표현이 되었다고 합니다. ​ 동물들은 보통 가을에 털갈이를 한다. 다가오는 추운 겨울을 버티기 위해서다. ​ 이 무렵의 동물 털은 그래서 가늘다. 새로 나는 털이어서 그렇다. 그것을 추호(秋毫)라고 적는다. ​ 무릇 살아있는 모든 생명들이 살고자 기울이는 노력이다. ​ 우리도 이 가을에는 살 방도를 제대로 생각해야 한다. ​ 다툼의 좁은 틀을 벗고 함께 살고자 기울이는 노력이 이제 중요하다..

너무 다른 백수의 의미

●재미있는 중국이야기-134● “너무 다른 백수” ​ 직업이 뭐냐? “사자 입니다” 사자가 직업이야? "백수의 왕 입니다” 80년대 아재개그의 한토막 이다. ​ 직업을 말할 때 백수라고 하면 白手라고 쓴다. ​ 중국에서는 백수라고 하지 않고 无业游民(무업유민) 이라는 표현을 쓴다. 뜻을 풀이해 보면 “직업없이 떠돌아 다니는 백성”이라는 의미이다. ​ 그럼 정작 우리가 쓰는 白手라는 말은 중국에서 “맨주먹으로 사업을 일으키다” 라는 白手起家(백수기가) 등으로 쓰인다. 보통 자수성가한 사람들한테 많이 쓴다. ​ 한자어가 같은 단어이어도 우리와 중국어에서의 쓰임이 완전히 다르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https://band.us/band/83688897/post/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