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어가는 마당 242

만산홍엽과 오동나무

●재미있는 중국이야기-135● “만산홍엽과 오동나무” ​ 예로부터 시를 쓸 때 궁합이 좋은 단어가 있다. 가을, 오동잎, 달밤, 거문고..등이 그렇다. ​ 백낙천의 장한가에 추우오동엽락시(秋雨梧桐葉落時) 귀절이 있다. 가을비에 지는 오동잎을 보며 죽은 양귀비를 그리워한다는 것이다. ​ 또 오동추야(梧桐秋夜).오동잎 떨어지는 가을 밤이라는 노래가사도 있다. ​ 오동 잎은 크다. 떨어질 때 소리도, 동작도 크다. 그래서 가을에 오동잎 떨어질 때 쓸쓸한 느낌도 더하다. ​ 오동쌍피. 화투 11월 똥은 오동나무를 뜻한다. 똥광은 봉황을 뜻한다. ​ 가을의 기운이 점차 깊어지고 있다. 모든 산에 울긋불긋한 색깔이 들어앉는 만산홍엽(滿山紅葉)의 가을 정취가 이제 곧 우리 눈에 가득 들어올 때다. ​ 가을을 표현하는..

너무 다른 백수의 의미

●재미있는 중국이야기-134● “너무 다른 백수” ​ 직업이 뭐냐? “사자 입니다” 사자가 직업이야? "백수의 왕 입니다” 80년대 아재개그의 한토막 이다. ​ 직업을 말할 때 백수라고 하면 白手라고 쓴다. ​ 중국에서는 백수라고 하지 않고 无业游民(무업유민) 이라는 표현을 쓴다. 뜻을 풀이해 보면 “직업없이 떠돌아 다니는 백성”이라는 의미이다. ​ 그럼 정작 우리가 쓰는 白手라는 말은 중국에서 “맨주먹으로 사업을 일으키다” 라는 白手起家(백수기가) 등으로 쓰인다. 보통 자수성가한 사람들한테 많이 쓴다. ​ 한자어가 같은 단어이어도 우리와 중국어에서의 쓰임이 완전히 다르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https://band.us/band/83688897/post/481

녹색 얼굴,병마용의 수수께끼

●재미있는 중국이야기-133● “녹색 얼굴,병마용의 수수께끼” ​ 진시황 병마용에 가보면 여전히 발굴 작업이 진행 중에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일부 병마용은 발굴은 해냈지만 보자기 같은 것으로 덮어놓고 전시를 하지 않는데요. 그중에는 얼굴에 녹색 칠을 한 신기한 병마용도 있습니다. 이 녹색 얼굴의 병마용을 발굴했을 때 특이한 색상에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 사람들은 이 병마용의 얼굴 색깔에 대해 각자의 견해를 내놓았고, 지금도 왜 녹색으로 칠해졌는지 수수께끼로 남아있습니다. 아래에 녹색 얼굴의 병마용에 대한 사람들의 예측을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 우선 장인의 장난이라는 관점입니다. 일부 학자들은 병마용이 비록 사람을 본떠서 만든 것이지만, 한 장인이 재미를 위해 고의로 병마용의 얼굴에 녹색..

河(하)와 江(강)

●재미있는 중국이야기-132● ”河(하)와 江(강)” 중국에는 커다란 강이 둘 있다. 黄河(황하)와 长江(장강)이다. 河는 뭐고 江은 뭘까? 같은물인데 왜 이름을 달리 했을까? 이것은 남북 사투리 때문에 빚어진 현상이라고 한다. 우리 김치가 전라도지역에서 짐치로 부르는 현상과 동일하다. 河는 원래 고대에는 고유어였다고 한다. 河는 한마디로 황허를 뜻했다고 한다. 그후 다른 강물줄기가 많아지면서 구별하기 위해 강물의 색깔을 배합시켜 황허로 불렀다고 한다. 중국인들과 한두마디 이야기를 나누어 보면 대략 출산지를 짐작할 수 있다. 그러면 대개 성격이 짐작되고 풀어갈 화제도 대충 정리가 된다. 중국에는 커다란 방언갈래만 일곱개다. 이들은 거의 외국어다. 다시 작은 방언갈래로 나누면 약 270개나 된다. 그러나 ..

中秋节 快乐(중추절 쾌락)

●재미있는 중국이야기-131● “中秋节 快乐(중추절 쾌락)” ​ 중국 현지 여행사의 추석선물로 받은 월병. 먹기 아까울 정도로 화려하다. ​ 우리의 송편만큼 추석날 먹는 중국음식, 한 때는 뇌물의 상납수단으로 전락하는 수모를 겪기도 한다. ​ 중국에서는 추석을 쭝치우지에(仲秋節) 또는 투안위앤지에(團圓節) 라고도 부른다. 쭝치우지에의 유래를 살펴보면 중국의 고대 제왕들은 가을에 달을 향해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이러한 풍습이 민간에 널리 퍼지고, 당대에 와서 고정된 명절이 되었다고 한다. ​ '쭝치우지에'에는 민간에서 전해 내려오는 또 다른 고사가 있다. '항아분월'이라는 고사로 아주 오랜 옛날, 하늘에는 열개의 태양이 있어 땅이 갈라지고 바닷물이 말라 생명체가 사라질 위기에 있었다고 한다. ​ 이때 한나..

악수와 공수(拱手)

●재미있는 중국이야기-130● “악수와 공수(拱手)” ​ 중국인들이 악수를 즐기지 않는 첫번째 이유는 바로 자기만의 공간을 지키려는 강한 의지 때문이다. ​ 중국의 전통적 인사법은 拱手다. 두손을 모아 상대의 눈을 향해 흔드는 것이다. 공서우(拱手)를 할때 거리는 적어도 2~3미터다. ​ 악수에 비해 나름의 영역을 충분히 확보하는 행위다. 서로의 영역을 철저히 지켜준다. ​ 중국인들은 원래 부딪치며 건배하지 않는다. 멀리서 잔을 올리며 눈만 맞춘다. 술잔 교환은 더더구나 없다. ​ 중국인에게 손바닥은 알몸과도 같다. 수지침이라는게 있다. 온몸의 혈도가 손바닥에 모여 있기 때문에 손바닥에 침을 놓아 몸의 필요한 혈도를 자극하는 침술법이다. ​ 중국인에게 악수는 남자끼리 몸을 비비는 형국이다. 꺼려할 수 밖..

홍콩 간다, 홍콩 보내 줄께

●재미있는 중국이야기-129● ​ “홍콩 간다, 홍콩 보내 줄께” ​ 오늘 오빠가 “홍콩 보내 줄께” “그것도 여권 없이” 젊은 시절 허세 떨며 한번씩 던져 본 멘트이다. ​ “홍콩의 밤거리” “홍콩 아가씨” 이처럼 홍콩은 흥청거리는 유흥과 오락의 대명사 였다. ​ 1960년~1970년. 경제적으로 어려웠던 시기. 고향을 떠나 떠나 다른 지방에 여행 다녀오는 것만으로도 굉장히 큰 자랑거리 였다. ​ 서울 가 보았느냐가 큰 훈장 처럼 회자 되곤 했다. 그런데 심지어 다른 나라를 여행하고 돌아온다는 것은 너무나도 큰 자랑거리였다. ​ ​그 당시 홍콩이라 하면, 관광, 쇼핑, 음식, 술, 여자 등 놀기 좋은 도시로 꽤 유명했습니다. ​ 그리고 홍콩은 주변에 있는 조그만 섬으로 상대적으로 굉장히 볼거리가 많다고..

경극의 색채 심리

●재미있는 중국이야기-128● ​ “경극의 색채 심리” ​ 중국인들은 경극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모습만 봐도 즐겁다. 흥분하기 시작한다. ​ 어우러 지는 노랫소리, 춤사위에 중국인들은 빠져든다. “낑낑낑 꺙꺙"꽹과리 소리와 현란한 원색, 무술적 몸놀림이 하나가 되는 희한한 예술이 경극이다. ​ 중국인들은 이런 경극속에서 자신들의 자화상과 우상을 본다. ​ 붉은 꽌위의 얼굴에서 뿜어져 나오는 충성과 깊은 의리, ​ 딱 편 어깨에 민초들의 가려운데를 긁어주는 검은 포청천의 얼굴, ​ 그리고 간악한 조조의 빤질거리는 하얀 얼굴.일곱색깔 중국인을 이해하는 기초는 바로 이 색채 심리학이다. ​ 중국인들은 전혀 촌스럽지 않다. 그들은 자신들의 색깔을 분명히 할뿐이다. ​ 중국인들이 체크무늬를 좋아하지 않는 까닭은 경..

홍콩, 향기 나는 도시

●재미있는 중국이야기-127● ​ “홍콩, 향기 나는 도시” ​ 홍콩 이라는 도시 이름은 한자로 표기하면 향항(香港)이다. 향기가 나는 항구라는 뜻이다. ​ 중국 보통화로 읽으면 “샹강“인데 광동어 발음은 “호옹고옹”이 된다. 사투리가 아니고 완전히 외국어다. 그래서 그 영어식 표기로 홍콩이 널리 알려지게 됐다. ​ 그럼 향기로운 항구 라는 이름이 어떻게 붙여졌을까? ​ 홍콩은 명나라 때 근처 도시였던 동완이라는 곳에 속해있었다. ​ 그 당시 동완에서 나는 향이 품질이 좋아서 황제에게 진상 되기도 했고 수출도 많이 됐다. ​ 바로 이 향을 모으고 옮기기 위해서는 항구가 필요했고 지금의 홍콩이 그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https://band.us/band/83688897/post/453

오상시와 크즐오르다

●재미있는 중국이야기-126● “오상시와 크즐오르다” 五常大米(우창다미) 중국 최고의 쌀을 칭하는 표현이다. 원래 흑룡강성을 비롯한 동북 3성은 수수와 옥수수가 주를 이루고 벼농사와는 거리가 먼 동네였으나 조선족 이주가 벼농사의 기원이 되었을 것이라는 것이 지리학계의 설명이다. 오상시는 흑룡강성의 제일 남부에 있는 지역으로서 흑룡강성의 남대문이자 ‘양곡지창’으로 유명하다. 조선족들이 가장 집중된 민락(民樂) 지역을 중심으로 벼 농사를 짓고 있으며, 중국에서 ‘오상쌀’로 이름을 날리고 있다. '중국의 입쌀은 흑룡강에 있고, 흑룡강의 입쌀은 오상에 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오상은 중국 곡창 중의 곡창으로 이름났다. 특히 오상예품공미(五常禮品貢米)는 오상시 민락조선족향의 공식 입쌀 상표이다. 크즐오르다 홍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