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합(野合)의 뜻★
야합(野合)의 원뜻은 들판에서 똥개들이 교미하는 것을 말하는데, 요즘엔 부부가 아닌 남녀가 몸을 섞는 것을 야합이라고도 하고... 목적 달성을 위해 불순하게 뜻을 합치는 정치인에게도 야합이란 말을 씁니다.
글자 그대로 결혼하지 않은 남녀가 들판에서 정을 통한다는 뜻이다.
중국 춘추시대 노(魯) 나라에 공흘(孔紇)이라는 사람이 살았다.
그는 기골이 장대한 9척의 무인으로 노나라의 대부가 되었다.
그에겐 번듯한 아들 하나 남기고 죽었으면 하는 소원 하나가 있었는데 첫 부인과 사이에서 딸만 아홉을 낳았다.
그래서 둘째 부인을 얻어서 겨우 아들을 하나 보았는데 이름이 맹피(孟皮)로 절름발이 였다.
어느덧 환갑이 지나자 공흘의 마음은 급해졌다.
절름발이 아들 하나 남기고 세상을 떠날수는 없는 일이 아닌가...?
그가 63세 되던 해 마을 사람에게서 이런 이야기를 들었다.
성 밖으로 나가서 북쪽으로 10 리쯤 가면 무녀(巫女)가 살고 있는데 그녀에게 과년한 딸 셋이 있으니 찾아가서 부탁 한 번 해보면 어떻겠는가?
마음이 혹한 공흘은 그 무녀의 집을 찾아가서 저간의 사정을 말하며 딸 하나 주기를 청했고 무녀가 딸 셋을 불렀다.
스무살 첫째 딸에게 물었다.
너 이 어르신의 아이를 낳아 줄 생각이 있느냐?
첫째는 고개를 저었다.
둘째에게 물었지만 그녀 역시 싫다고 말했다.
이번에는 열여섯 된 셋째에게 물었다.
그러자 네 어머니, 저는 기꺼이 어르신의 뜻을 받들겠습니다.
그녀의 이름은 안징재(顔徵在)로 성품이 고결하고 마음이 섬세한 여인이었다.
16살 처녀 징재와 63세 노인 공흘은 집 근처 들판에서 매일 틈만 나면 몸을 섞었다.
이윽고 안징재의 몸에서 태기가 생겼고 열 달을 보낸 후 건강한 사내아이가 태어났다.
이 사내 아이가 세계 4대 성인(聖人)의 한사람인 공자(孔子)다.
공자는 얼마 지나지 않아 아버지를 여의었고 부자가 된 무녀인 어머니 슬하에서 어린시절을 보냈다.
야합은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에 처음으로 사용된말로 야합에 의해 무녀의 아들로 태어난 공자(孔子)의 출생비밀을 전합니다.
사마천이 살던 시대의 야합은 지금처럼 그렇게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지는 않았고 오히려 권유적이고 생산적인 의미가 더 강했다는 생각이 드는데 사기의 야합이라는 표현은 아마도 공자의 아버지가 나이 70이 가까운 나이에 16세의 어린 처녀와 결혼했기 때문에 썼던 게 아닐까 추정하고 있다.
그런데 요즘은 안 좋은 뜻의 정치 용어로 많이 변질되어 쓰이는 것 같다.
'쉬어가는 마당 > 재미있는 외국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에서 제일 값비싼 그림, 모나리자(Mona Lisa) (0) | 2024.05.16 |
---|---|
황제의 침전 (1) | 2024.05.02 |
숫자 3의 행렬 (0) | 2024.04.24 |
복수 DNA (2) | 2024.04.12 |
거세의 회고 (2) | 2024.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