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는중국이야기-52●
“東西, 방향 아닌 물건의 의미"
한자문화권인 한,중,일
하지만 쓰는 단어나 의미가 다른 것이 많다.
东西(동서)
처음 중국어를 접하면 당황스러운 단어.
동서남북의 방향의 의미뿐 아니라 엄청나게 다양하게 쓰인다.
东西가 무슨 이유로 물건의 의미를 갖게 되었을까?
한자 문화권을 이루고 있는 한국 ․ 중국 ․ 일본 세나라는 각 나라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한자음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한자 어휘의 의미도 세 나라가 서로 다른 의미로 쓰이는 한자어도 상당히 많다. 그러다보니 세나라에서 쓰이는 한자 어휘를 잘 모를 경우 의미가 서로 달라 큰 혼란을 겪는 경우도 많다.
한자의 음도 비슷한 경우도 많지만 음이 다르면서 뜻이 다른 경우도 많다. 또한 우리말 음과의 유사성으로 인해서 웃음을 자아내는 경우도 많다. ‘물건’을 뜻하는 중국어 ‘东西(동서)’는 음이 우리말의 배설물을 뜻하는 어휘가 들어있어서 발음할 때에 웃음을 자아내게 한다.
‘물건’이라는 말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매우 자연스럽고 흔하게 사용하는 어휘이다. 그런데 이 말을 중국어로 ‘東西(동서)’라고 쓰고 발음은 ‘똥시’라고 한다.
원래 ‘東(동)’과 ‘西(서)’는 방향을 표시하는 한자말이다.
그런데 왜 중국어에서는 ‘東西(동서)’라는 말을 ‘물건’이라는 뜻으로 쓰일까? ‘南北(남북)’이라고 쓰면 안 되나?
중국문화권에서는 옛날부터 陰陽五行說(음양오행설)이 있는데 바로 ‘金(금), 木(목), 水(수), 火(화), 土(토)’의 다섯 원소를 이용하여 세상의 이치를 이해하는 사상으로 이를 5行(행) 이라고 한다.
이 오행은 또한 ‘東(동), 西(서), 南(남), 北(북), 中央(중앙)의 5개의 방위를 나타내기도 한다.
옛사람들은 나무(木)는 모든 식물을 대표하고, 쇠(金)는 모든 금속광물을 대표하고, 물(水)과 불(火)은 고정된 형태가 없어서 실질적인 물질을 대표할 수가 없다고 여겼다.
흙(土)은 도처에 있어서 소홀하게 여긴다. 그래서 사람들은 쇠(金)와 나무(木)를 서로 대응하는 ‘東西(동서)’를 ‘물건’을 일컫는 말로 사용하게 되었다.
기록에 의하면, 중국 남송 때의 대 유학자로 우리나라에도 ‘주자학(朱子學)’으로 잘 알려진 ’주자(朱子)‘가 한번은 거리에서 우연히 그의 절친한 친구인 ‘성온여(盛溫如)’라는 사람이 대나무광주리를 들고 있는 것을 보고 그에게 이렇게 물어보았다.
”자네 어딜 가나?” “東西(물건) 사러” “그러면 왜 南北사러 간다고 하지 않는가?” 그러자 성온여가 이렇게 풀이하여 말하는 것이었다.
“東(동)은 오행의 木(목)에 속하고, 西(서)는 金(금)에 속하니 나무(木)와 쇠(金)라는 물건은 광주리에 담을 수 있다네.
하지만 南(남)은 물(水)에 속하고, 北(북)은 불(火)에 속하니 물(水)과 불(火)이라는 물건을 어떻게 광주리에 담을 수 있나?
이 때문에 ‘東西(물건)’를 산다고 말해야지 南北산다고는 말할 수 없다네.”
이와 같은 이야기에서 물건을 ‘東西(중국어:똥시)’라고 부르게 되었다.
일설에 의하면, ‘東西(똥시:물건)’라는 어휘는 이미 동한(東漢) 시대부터 있었다고 한다. 당시 한(漢)나라의 동쪽 수도였던 ‘낙양(洛陽)’과 서쪽 수도였던 ‘장안(長安)’은 상업이 매우 번성하였던 도시였다.
당시 사람들이 동쪽 수도와 서쪽 수도에 물건을 사러가면서 속된 말로 ‘賣東(매동)’혹은 ‘賣西(매서)’라고 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오랜 세월이 지난 후 사람들은 ‘물건’을 일컬어 ‘東西(동서:똥시)’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가짜 상품’ 혹은 ‘가짜 물건’이라는 말을 뜻하는 어휘로 ‘짝퉁’이라는 말을 쓴다. 하지만 정확하게 말하면 ‘짜똥’이라고 발음해야 한다.
왜냐하면 ‘짝퉁’의 語源(어원)이 중국어인 ‘假毛東西(가모동서)’로, 중국어로 발음하면 “짜마오똥시”가 되고 줄여서 “짜똥”이라고 발음하는 것을 우리나라 사람들의 귀에는 ‘짝퉁’이라고 들리기 때문에 그렇게 말하고 있는 것이다.
“東西, 방향 아닌 물건의 의미"
한자문화권인 한,중,일
하지만 쓰는 단어나 의미가 다른 것이 많다.
东西(동서)
처음 중국어를 접하면 당황스러운 단어.
동서남북의 방향의 의미뿐 아니라 엄청나게 다양하게 쓰인다.
东西가 무슨 이유로 물건의 의미를 갖게 되었을까?
한자 문화권을 이루고 있는 한국 ․ 중국 ․ 일본 세나라는 각 나라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한자음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한자 어휘의 의미도 세 나라가 서로 다른 의미로 쓰이는 한자어도 상당히 많다. 그러다보니 세나라에서 쓰이는 한자 어휘를 잘 모를 경우 의미가 서로 달라 큰 혼란을 겪는 경우도 많다.
한자의 음도 비슷한 경우도 많지만 음이 다르면서 뜻이 다른 경우도 많다. 또한 우리말 음과의 유사성으로 인해서 웃음을 자아내는 경우도 많다. ‘물건’을 뜻하는 중국어 ‘东西(동서)’는 음이 우리말의 배설물을 뜻하는 어휘가 들어있어서 발음할 때에 웃음을 자아내게 한다.
‘물건’이라는 말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매우 자연스럽고 흔하게 사용하는 어휘이다. 그런데 이 말을 중국어로 ‘東西(동서)’라고 쓰고 발음은 ‘똥시’라고 한다.
원래 ‘東(동)’과 ‘西(서)’는 방향을 표시하는 한자말이다.
그런데 왜 중국어에서는 ‘東西(동서)’라는 말을 ‘물건’이라는 뜻으로 쓰일까? ‘南北(남북)’이라고 쓰면 안 되나?
중국문화권에서는 옛날부터 陰陽五行說(음양오행설)이 있는데 바로 ‘金(금), 木(목), 水(수), 火(화), 土(토)’의 다섯 원소를 이용하여 세상의 이치를 이해하는 사상으로 이를 5行(행) 이라고 한다.
이 오행은 또한 ‘東(동), 西(서), 南(남), 北(북), 中央(중앙)의 5개의 방위를 나타내기도 한다.
옛사람들은 나무(木)는 모든 식물을 대표하고, 쇠(金)는 모든 금속광물을 대표하고, 물(水)과 불(火)은 고정된 형태가 없어서 실질적인 물질을 대표할 수가 없다고 여겼다.
흙(土)은 도처에 있어서 소홀하게 여긴다. 그래서 사람들은 쇠(金)와 나무(木)를 서로 대응하는 ‘東西(동서)’를 ‘물건’을 일컫는 말로 사용하게 되었다.
기록에 의하면, 중국 남송 때의 대 유학자로 우리나라에도 ‘주자학(朱子學)’으로 잘 알려진 ’주자(朱子)‘가 한번은 거리에서 우연히 그의 절친한 친구인 ‘성온여(盛溫如)’라는 사람이 대나무광주리를 들고 있는 것을 보고 그에게 이렇게 물어보았다.
”자네 어딜 가나?” “東西(물건) 사러” “그러면 왜 南北사러 간다고 하지 않는가?” 그러자 성온여가 이렇게 풀이하여 말하는 것이었다.
“東(동)은 오행의 木(목)에 속하고, 西(서)는 金(금)에 속하니 나무(木)와 쇠(金)라는 물건은 광주리에 담을 수 있다네.
하지만 南(남)은 물(水)에 속하고, 北(북)은 불(火)에 속하니 물(水)과 불(火)이라는 물건을 어떻게 광주리에 담을 수 있나?
이 때문에 ‘東西(물건)’를 산다고 말해야지 南北산다고는 말할 수 없다네.”
이와 같은 이야기에서 물건을 ‘東西(중국어:똥시)’라고 부르게 되었다.
일설에 의하면, ‘東西(똥시:물건)’라는 어휘는 이미 동한(東漢) 시대부터 있었다고 한다. 당시 한(漢)나라의 동쪽 수도였던 ‘낙양(洛陽)’과 서쪽 수도였던 ‘장안(長安)’은 상업이 매우 번성하였던 도시였다.
당시 사람들이 동쪽 수도와 서쪽 수도에 물건을 사러가면서 속된 말로 ‘賣東(매동)’혹은 ‘賣西(매서)’라고 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오랜 세월이 지난 후 사람들은 ‘물건’을 일컬어 ‘東西(동서:똥시)’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가짜 상품’ 혹은 ‘가짜 물건’이라는 말을 뜻하는 어휘로 ‘짝퉁’이라는 말을 쓴다. 하지만 정확하게 말하면 ‘짜똥’이라고 발음해야 한다.
왜냐하면 ‘짝퉁’의 語源(어원)이 중국어인 ‘假毛東西(가모동서)’로, 중국어로 발음하면 “짜마오똥시”가 되고 줄여서 “짜똥”이라고 발음하는 것을 우리나라 사람들의 귀에는 ‘짝퉁’이라고 들리기 때문에 그렇게 말하고 있는 것이다.
'쉬어가는 마당 > 재미있는 외국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려군, 대륙콘서트 무산의 비애 (0) | 2023.04.03 |
---|---|
开裆裤(카이당쿠), 개구멍 바지, 배변훈련의 산물 (0) | 2023.04.02 |
중국 백주의 영어이름은 (0) | 2023.03.31 |
황제의 호칭, 짐, 과인의 의미 (0) | 2023.03.30 |
우한,벚꽃명소, 일본 잔재 (0) | 2023.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