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어가는 마당/재미있는 외국이야기

河(하)와 江(강)

신바람투어/HL4CCM/김재호 2023. 10. 5. 10:45

       ●재미있는 중국이야기-132●

              ”河(하)와 江(강)”

중국에는 커다란 강이 둘 있다.

黄河(황하)와 长江(장강)이다.

河는 뭐고 江은 뭘까?

같은물인데 왜 이름을 달리 했을까?

이것은 남북 사투리 때문에 빚어진 현상이라고 한다.

 

우리 김치가 전라도지역에서 짐치로 부르는 현상과 동일하다.

河는 원래 고대에는 고유어였다고 한다.

河는 한마디로 황허를 뜻했다고 한다.

그후 다른 강물줄기가 많아지면서 구별하기 위해 강물의 색깔을 배합시켜 황허로 불렀다고 한다.

 

중국인들과 한두마디 이야기를 나누어 보면 대략 출산지를 짐작할 수 있다.

그러면 대개 성격이 짐작되고 풀어갈 화제도 대충 정리가 된다.

 

중국에는 커다란 방언갈래만 일곱개다. 이들은 거의 외국어다.

다시 작은 방언갈래로 나누면 약 270개나 된다.

 

그러나 사람마다 목소리, 언어습관 다른 것까지 생각하면 수천 수만가지 일 것이다.

베이징사람.산동사람.쓰추안사람.상하이.광저우 등등

 

이들이 서로의 사투리 만을 고집하면 의사소통은 완전히 불능이다.

표준어라 하는 푸통화의 존재가치는 바로 여기에 있다.

 

중국대도시에 사는 아이들과 할머니 할아버지 사이에 말이 잘 안통하는 가정이 있다.

 

아이가 푸통화만 쓰게 되면서 고향의 '土话(토화)' 즉 사투리를 잊어버리는 것이다.

 

농촌지역 뿐만 아니라 도시로 불법 이주해 온 거리의 행상들과 이야기 나누기도 몹시 어렵다.

 

만두나 사먹고 콜라 사는 일이야 집어들고 말없이 돈내면 그만이다.

하지만 뭐좀 알고싶어 질문을 던지면 나름대로 대비책을 세워도 헤매기 일쑤다.

 

흔히 푸통화를 북경어로 알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오해다.

푸통화의 기본이 북경어이긴 하지만 북경어 역시 방언의 하나이다.

 

사실 학교에서 배우고 가르치는 표준어는 텔레비젼이나 라디오에서 들을 수 있을 뿐이다.

사투리에 대해서는 중국인 자체도 이런 농담이 있다.

 

슈이자오(水饺)를 시키려고 값을 물었다.

“쉐이쟈오 이완 뚜오샤오 치엔(만두 한접시 얼마에요)"

그러자 아가씨는 다자고짜 귀싸대기를 올려 붙였다.

 

이유는 이랬다. "쉐이쟈오 이완 뚜오샤오 치엔(水饺一碗多少钱)"인데 이친구 발음은 "아가씨 하고 하룻밤 자는데 얼마요(睡觉一晚多少钱)"였다.

맞아도 싸다.

 

중국어는 때로 한두마디의 억양과 발음으로 전체의 뜻이 달라지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